클러스터링은 비슷한 특성을 가진 데이터 포인트들을 그룹화하는 비지도 학습(unsupervised learning) 방법 중 하나입니다. 이 방법은 레이블이 지정되지 않은 데이터에 적용되며, 데이터 내 숨겨진 패턴이나 구조를 발견하는 데 유용합니다.

클러스터링의 주요 개념

주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

  1. K-평균(K-Means): 데이터를 K개의 클러스터로 그룹화합니다. 클러스터의 중심(centroid)을 계산하고, 각 데이터 포인트를 가장 가까운 중심에 할당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클러스터를 형성합니다.
  2. 계층적 클러스터링(Hierarchical Clustering): 개별 데이터 포인트를 개별 클러스터로 간주하고 시작하여, 가장 가까운 클러스터끼리 차례대로 병합해 나가는 방식으로 클러스터를 형성합니다. 이는 덴드로그램이라는 트리 형태의 다이어그램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.
  3. DBSCAN(Density-Based Spatial Clustering of Applications with Noise): 밀도 기반 클러스터링으로, 특정 공간 내에 데이터 포인트들이 밀집해 있는 영역을 클러스터로 정의합니다. 이 방법은 클러스터의 형태가 원형이 아니어도 잘 작동합니다.

클러스터링의 응용

클러스터링은 데이터를 탐색하고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도구이며,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. 실제 데이터에 클러스터링 기법을 적용해보며, 데이터 내 숨겨진 패턴이나 구조를 발견하는 경험을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. 클러스터링에 대한 실습이나 더 깊은 이해를 원하시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!